
케이지에이가 LFP(리튬·인산·철) 기반의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케이지에이는 이차전지 전문기업 ‘쉐메카’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의 고도화 및 상용화를 중심으로 양사 간 협력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협약에 따라 케이지에이와 쉐메카는 수계공정 기반 양극재 기술에 대해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하며, 각 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네트워크 역량을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ESS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를 시작으로 실적 회복 등 ‘캐즘 돌파’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이차전지 ‘원가 절감’에 효과가 있는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 및 코팅 소재가 전방 시장으로부터 많은 기대를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지에이는 현재 LFP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을 상용화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한 투자 및 마케팅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조만간 실증 평가도 진행할 방침이다.
수계공정 기술은 고비용 유기계 용매(NMP 등)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이차전지 제조 단가 절감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ESG 경영이 확대되는 글로벌 환경에서 도입이 필수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은 2023년 약 185GWh에서 2035년 약 1232GWh로 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LFP 배터리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출력은 낮지만, 가격 경쟁력과 안전성 측면에서 강점을 갖추고 있어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현재 글로벌 ESS 시장은 중국 업체가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이차전지 기업들도 본격적으로 시장 진입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외 이차전지 제조사들이 캐즘 극복과 매출 확대를 위해 ESS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실제 최근 셀 메이커 한 곳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하며 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사와 쉐메카가 개발한 수계공정화 기술은 이차전지 제조사들의 이익률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전방 시장에서의 러브콜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쉐메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규 시장 개척에 속도를 높이고, 시장 점유율을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