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올해 2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며 시장의 기대를 또다시 밑돌았다.
테슬라는 매출 감소 폭이 최근 10년간 가장 컸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줄었다.
23일(현지시간) 테슬라가 발표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총매출은 224억96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줄었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227억4000만달러를 하회한 수치다. 주당순이익(EPS)도 0.40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23% 감소했다. 시장 기대치인 0.43달러를 하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2% 감소한 9억2300만달러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4.1%로 작년 같은 기간의 6.3%보다 낮아졌다.
다만, 직전 분기 2.1%보다는 개선됐다.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6% 감소한 11억7200만달러였다.
핵심 사업인 자동차 부문 매출은 166억61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6% 감소했다. 앞서 테슬라는 이달초 2분기 차량 인도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 줄어든 38만4122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 발전·저장 부문 매출도 7% 줄어 27억8900만달러에 그쳤다.
테슬라는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배출가스 규제 크레딧 수익 감소, 인공지능(AI) 및 기타 연구개발 비용 증가, 차량 인도량 감소 등을 꼽았다. 특히 수익성이 높은 전기차 판매가 줄어든 점이 타격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향후 성장 전략과 기술 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테슬라는 “6월부터 저가형 모델을 처음 생산했고, 해당 모델은 2025년 하반기부터 양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전기트럭 ‘세미(Semi)’와 로보택시 전용 차량 ‘사이버캡(Cybercab)’ 개발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두 모델 모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로보택시 서비스는 테슬라가 AI·로봇공학 분야로 진입하는 전환점이라고 자평했다.
테슬라는 “2025년 2분기는 테슬라가 단순한 전기차 기업을 넘어 AI 기반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시점”이라며 “자체 신경망과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향후 수익성과 안전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