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투지바이오는 18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2025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이종기술융합형의 투자연계 R&D사업 신규지원’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기간은 2년 6개월이며 지원금은 총 25억원이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장기이식 환자를 위한 면역억제제 개발이다. 지투지바이오의 약물전달기술(Drug Delivery System)인 ‘이노램프(InnoLAMP)’를 적용해 1개월 제형으로 개발한다.
연구책임자인 설은영 지투지바이오 연구소장은 “이미 예비테스트를 통해 고함량 제형으로도 체내에서 약동학 프로파일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최종후보제형을 확보하고 동물에서의 효력시험, 독성시험 및 스케일-업 연구 등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는 급성 혹은 만성 거부반응에 대비하기 위해 매일 장시간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면역억제제의 혈중농도 변동성이 높을 경우 면역학적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이식된 장기의 거부반응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부작용을 유발한다.
현재 시판중인 면역억제제들은 매일 1~2회 경구 투약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공복 또는 식이 조절이 필요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복용 부담을 줄이고 혈중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투지바이오는 글로벌 최초로 약효지속기간이 1개월간 유지되는 면역억제제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 연구를 통해 장기이식 환자들의 복약 순응도를 개선하여,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이희용 지투지바이오 대표는 “지속형 면역억제제는 오랜 시간 장기이식 환자를 진료했던 의사의 요청에 의하여 개발하게 된 제품으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글로벌시장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기지속형 면역억제제의 연구성괄르 기반으로 글로벌제약사와 기술이전 계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