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다(LiDAR) 기술 선도기업 에스오에스랩이 엔비디아 ‘자율주행’ 생태계에 공식 합류하며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했다.
에스오에스랩은 엔비디아의 자율주행·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오린(NVIDIA DRIVE AGX Orin)’의 라이다 센서 부문 공식 파트너사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라이다뿐 아니라 카메라, 레이더, 위성 기반 위치항법 시스템(GNSS) 등 자율주행 핵심 센서 분야에서 국내 기업이 엔비디아 공식 파트너로 이름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계기로 에스오에스랩은 글로벌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공식 파트너사가 되면 엔비디아 자율주행 플랫폼을 사용하는 글로벌 완성차(OEM) 및 선도 자율주행 알고리즘 개발사들이 해당 파트너사의 제품을 우선 검토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승용차, 트럭, 로보택시, 배송 시스템 등 다양한 자율주행 업체들이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 플랫폼을 채택하고 있으며, CES 2025에서는 볼보, 루시드, 리비안 등이 이를 적용한 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앞서 에스오에스랩은 지난달 열린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AME 2025)’에서 차세대 고정형 3D 라이다 ‘ML-A’와 엔비디아 드라이브 AGX 오린을 연동한 데모를 선보이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에스오에스랩 관계자는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시뮬레이션·운영체제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자율주행 생태계의 핵심”이라며 “이번 합류로 당사 라이다 기술이 세계 표준 플랫폼과 호환성을 확보하게 됐고, 글로벌 사업 확장과 기술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큰 이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참여는 당사의 라이다 기술력이 글로벌 수준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이를 계기로 글로벌 OEM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고정형 라이다 시장 확대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되는 과정에서 안전이 최우선이며, 라이다를 비롯한 다양한 센서 기술이 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향후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 인프라 등 미래 산업 전반에서 엔비디아와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에스오에스랩은 스마트 인프라 분야에서도 엔비디아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차세대 ‘라이다 활용 주차 안내 시스템(LPGS)’을 국내 주요 공항 등에 공급 중이며, 해당 시스템에는 엔비디아의 AI·딥러닝·컴퓨터 비전 기술이 적용된 ‘엔비디아 젯슨(Jetson)’이 탑재돼 있다. 이 솔루션은 라이다로 야외 주차장의 빈 공간을 실시간 탐지하며,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