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국제무역

美, 중국에 H20 수출 허용…'4순위 칩'으로 中 AI 기술 견제

임영재 기자

입력 2025.07.16 08:02

숏컷

X
사진=ChatGPT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을 부분적으로 허용한 배경에는 희토류와의 맞교환 성격의 협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바이든 행정부 시절 H20 칩의 수출이 허용됐다가 중단됐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재승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6월 런던에서 열린 2차 미중 무역협상에서 이뤄진 ‘자석 협정’에 따른 조치다. 당시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자석 수출 재개를 조건으로 H20 칩 수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러트닉 장관은 “H20은 최신 칩이 아니라 성능 기준으로 4순위 제품이며, 현재는 블랙웰(Blackwell) 기반의 H200과 H100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최고의 칩도, 두 번째, 세 번째도 아닌 네 번째 칩을 파는 것”이라며, 중국에 최고 성능의 기술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또한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개발자들이 미국 기술에 중독되어 있는 만큼 가능한 많이 팔기를 원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이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하는 것보다 미국산 저사양 반도체를 계속 구매하게끔 하는 것이 전략적”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순, H20 칩의 대중 수출에 대해 정부 허가제를 도입했다. 이는 5월 제네바와 6월 런던에서 열린 미중 협상에서 협상 카드로도 활용됐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중국, 일본이 철강업체에 전기요금을 낮게 제공하며 미국 철강업계를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들 국가는 자국 철강업체에 사실상 무상으로 전기를 제공한 뒤 덤핑 수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AI 및 암호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데이비드 삭스(David Sax) 백악관 보좌관은 “중국 화웨이가 AI 반도체 시장을 잠식하지 않으려면 미국이 저가형 AI 반도체라도 판매를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중국 시장 전체를 화웨이에 넘기면 그들의 연구개발(R&D)은 크게 강화될 것”이라며, “미국 기술이 세계 표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영재 기자 withhy@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