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러시아가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 전격적인 진격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전황 분석가들이 12일(현지시간) 진단했다.
로이터·AFP 통신과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전황을 추적해온 ‘딥스테이트’는 최근 며칠 새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북쪽으로 최소 10㎞ 진격했다고 분석했다. 핀란드 군사정보 분석가 파시 파로이넨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통해 포크로우스크시 북쪽에서 러시아군이 지난 사흘간 약 17㎞를 돌파했다고 전했다.
러시아군은 포크로우스크 인근 탄광 마을 도브로필리아까지 진입하며 주요 거점 도시 코스티안티니우카의 고립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동부 점령 공세를 강화한 러시아는 병력 부족에 시달리는 우크라이나군의 약점을 공략하며 포크로우스크와 코스티안티니우카를 잇는 3개 마을을 잇따라 점령해 왔다. 딥스테이트는 “러시아군이 방어선의 틈을 파고들며 병력을 빠르게 통합하고 있어 전황이 혼란스럽다”고 전했다.
이번 공세는 15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 맞물린다. 회담에서 영토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아, 러시아가 협상 전 점령지를 넓혀 우크라이나에 양보 압박을 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 교환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러시아가 도네츠크주 포기를 요구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파로이넨 분석가는 “앞으로 24~48시간 안에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는 진격 관련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군은 “전황이 어렵고 역동적”이라며 치열한 전투를 전했다. 안드리 코발로우 우크라이나군 대변인은 “러시아군이 수적 우위를 활용해 지속적으로 침투를 시도하고 있다”며 시르스키 총사령관이 적 사보타주조 탐지·섬멸을 위한 증원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미 전쟁연구소(ISW)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소규모 파괴조를 먼저 투입하는 전술을 구사 중이며, 우크라이나군은 예비군을 동원해 이들을 격퇴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군 전직 장교 보흐단 크로테비츠는 SNS를 통해 “포크로우스크와 코스티안티니우카 방어선은 완전히 엉망진창”이라며 병력 부족 문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한편 러시아는 이번 회담을 앞두고 드론 공습 강도를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NYT 분석에 따르면, 7월 하루 평균 201대의 드론을 발사했던 러시아는 이달 들어 78대로 줄였다.
키이우의 싱크탱크 우크라이나 프리즘 관계자는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잘 알고 있다”며 “드론 공격 감소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