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국제관계

美 워싱턴 전문가들 "李, 트럼프 수치 오류에 즉석 반박 말고 사후 정정 권해"

윤영훈 기자

입력 2025.08.22 08:40

숏컷

X

한미경제연구소, 25일 정상회담 대비 전략적 접근법 제시..."예측불허 발언 대응책 마련 필수"

사진=Gemini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워싱턴 전문가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확한 발언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방위비나 주한미군 규모 등 민감한 수치를 잘못 언급할 경우, 회담 현장에서의 즉각 반박보다는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한미경제연구소(KEI) 스콧 스나이더 소장은 21일(현지시간) 연구소 주관 세미나에서 트럼프의 부정확한 방위비 관련 언급에 대해 "정상회담 직후 양측 실무진이 조정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트럼프는 과거 선거 캠페인에서 실제 2만8500명 규모의 주한미군을 4만명이라고 잘못 언급하는 등 수차례 부정확한 수치를 사용한 바 있다.

스나이더 소장은 "트럼프의 잘못된 언급을 현장에서 바로잡기를 기대하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도 "그렇다고 방치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사례를 들며 "수개월 전 백악관에서 매우 곤란한 상황을 겪었지만, 이번 주 재방문에서는 상당히 원만한 분위기를 연출했다"며 "핵심은 그 순간의 상황보다 향후 관계 발전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통역을 통한 소통이 필요한 이재명 대통령의 경우, 유럽 정상들과는 다른 상황에 놓여 있다고 스나이더 소장은 분석했다. 이러한 언어적 장벽이 즉각적 반응을 어렵게 만드는 동시에 "득이 될 수도, 실이 될 수도 있는 양면성"을 지닌다고 평가했다.

한미경제연구소 에리우스 데어 커뮤니케이션 부장은 "트럼프가 무역 및 북한 사안에서 기존 합의사항과 상충하는 돌발적 언급을 할 위험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2017년 6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가 트위터를 통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의지를 밝힌 사례를 상기시켰다.

데어 부장은 "8월25일 회담에서 어떤 상황을 예상하든, 예기치 못한 변수 발생에 대한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엘렌 김 학술부장은 "트럼프는 자신의 발언을 실제 정책으로 추진하려는 성향이 강하다"며 "방위비 증액 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해온 만큼,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주요 성과로 내세우려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 부장은 또한 "트럼프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대중국 정책 관련 질문을 던질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하나인 '동맹 현대화' 논의에 대해서는 "아직 트럼프 행정부의 종합적인 국방전략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포괄적 수준의 방향성 제시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김 부장은 내다봤다.

그는 "강화된 동맹의 업그레이드 필요성이나 복잡한 안보환경 대응에서의 동맹 유용성 등을 담은 공동 비전 선언문 형태로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데어 부장도 "전략적 유연성은 협상과정의 핵심 요소이나, 방위비 등 다른 현안과의 연계방식은 아직 불분명하다"며 "국방부 주도의 국방전략 수립과정과 맞물린 사안"이라고 부연했다.


윤영훈 기자 jihyunengen@finance-scope.com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