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서 인공지능(AI) 챗봇을 교실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교사 노조인 미국교사연맹(AFT)은 이날 교사들을 위한 'AI 교육 허브' 설립을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앤스로픽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은 이 프로젝트에 2300만달러(약 315억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노조는 뉴욕시에 'AI 교육을 위한 국가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올 가을부터는 수업 계획서 작성 등 AI 도구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습형 워크숍을 시작할 계획이다.
랜디 와인가튼 AFT 회장은 "이 아카데미는 단순히 AI의 작동 원리를 배우는 곳이 아니라, AI 기술을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는 법을 배우는 혁신적인 공간이 될 것"이라며 "기술 개발자와 교육자들이 상호 협력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I 교육 허브는 약 20만명의 교직원이 소속된 뉴욕시 교사노조(UFT) 본부에 설치되며, MS는 향후 5년간 1250만달러(약 170억원)를 지원하고, 오픈AI는 800만달러(약 110억원)와 200만달러(약 27억원) 상당의 기술 자원을, 앤스로픽은 50만달러(약 7억원)를 각각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의 주요 기술 기업들이 생성형 AI 챗봇을 활용해 교육 혁신을 이루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학교들이 이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의 하나로 평가된다.
올해 2월 캘리포니아 주립대(CSU)는 학생 46만명에게 챗GPT를 제공하기로 했다.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 공립학교는 10만명 이상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글의 AI '제미나이' 도입을 시작했다.
연방 정부 역시 AI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학교 지원금을 동결하면서도 AI 교육을 위한 자금 지원을 업계에 촉구했으며 백악관은 최근 기업들과 비영리 단체들에게 학교와 교사, 학생들을 위한 AI 관련 보조금과 기술, 교육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아마존, 애플, 구글, 메타, MS, 엔비디아, 오픈AI 등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 의사를 전했다.
오픈AI의 글로벌 정책 책임자인 크리스 르하네는 "읽기, 쓰기, 수학과 함께 AI 활용법은 미래의 필수 교육이 될 것"이라며 "학교가 이 기술을 배울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