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가 강세다.
JP모건 계열 펀드가 에이프릴바이오의 지분을 6% 가량 취득한 가운데, 이같은 소식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오전 11시 23분 현재 에이프릴바이오 주가는 전일 대비 7.61% 오른 1만683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J.P. Morgan Prime 등이 지난 21일 기준 단순투자 목적으로 에이프릴바이오 지분을 6.03%(135만2614주) 가량 확보했다.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는 지난 201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이다. 현재는 자체 개발한 'SAFA(Serum Albumin Fab-Associated)'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약효 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연장시켜 약물의 효능과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된다.
보유 기술 수출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에이프릴바이오는 그동안 GLP-1 기반 비만 치료제와 ADC(Antibody Drug Conjugate)를 개발하는 글로벌 기업들에 SAFA를 기술수출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추진해 왔으며 대표적으로 지난 6월 미국의 신약개발사 에보뮨(EvoMune)에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R3'를 총 4억7500만 달러(약 6550억 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이 중 선급금은 1500만 달러(약 207억 원)이며, 상업화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과 판매 로열티는 별도로 지급된다.
'APB-R3'는 인터루킨-18 결합단백질(IL-18BP) 기반의 자가염증질환 치료제로, 2024년 3월 호주에서 진행된 임상 1상에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에보뮨은 해당 물질을 활용해 2025년 상반기 아토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국증시
[특징주] 에이프릴바이오, JP모건 6% 취득...'SAFA'플랫폼 기반 기술수출 ‘강세'

숏컷
관련기사
관련 기사가 없습니다.
많이 본 기사
까다로운 애플의 선택…아이폰 폴더블의 완성도, 한국 기술력에 달렸다
윤영훈 기자
2025.07.21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
남지완 기자
2025.07.22
프리미엄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사입니다
서윤석 기자
2025.07.21
트럼프 "투자 많이 하는 나라엔 관세 혜택 줄 것"
윤영훈 기자
2025.07.25
미중 협상팀, 관세전쟁 90일 추가 휴전 잠정 합의
윤영훈 기자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