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반도체/관련부품

텔레칩스, 일반인용 국산 싱글보드 컴퓨터 양산해 B2C 사업 첫 개시

남지완 기자

입력 2025.04.29 10:56

숏컷

X

6월 판매 시작… 소프트웨어도 함께 제공해 지속적으로 사후 지원

텔레칩스의 신제품 D3-G, VCP-G, AI-G. 사진=남지완 기자

차량용 반도체 시장서 활약하고 있는 텔레칩스가 일반인용 싱글보드 컴퓨터(SBC)를 자체 개발해 학생, 교수, 소규모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B2B(기업 간 거래)사업을 주력으로 해왔던 기업이 B2C(기업과 일반 소비자간 거래) 사업에 처음 진출하는 것이기에 점진적으로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텔레칩스는 이달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월드 IT SHOW 2025’에 참가해 기존 주사업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신사업인 싱글보드 컴퓨터를 전시했다.

29일 텔레칩스 관계자는 “당사는 차량용 칩 기업으로서 이미 확고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이에 제품 양산·공급 및 사후지원까지 통합적으로 사업을 영위해온 업력이 있다”며 “이 같은 경험을 기반으로 일반인용 대상 제품을 만들어 공급하는 것이 회사의 새로운 사업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일반인 대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싱글보드 컴퓨터로는 영국산 브랜드인 라즈베리 파이, 이탈리아산 브랜드 아두이노 등이 있다”며 “한국에서 자체 브랜드를 내세워 싱글보드 컴퓨터를 판매하는 기업이 여럿 존재하기는 하나, 다수의 기업들은 외산 제품을 수입해 유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텔레칩스가 시작하는 신사업은 이와는 크게 궤를 달리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관계자는 “당사는 오랜 기간 칩 관련 사업을 영위해왔다. 이러한 업력을 파악한 일반 소비자들은 텔레칩스에 싱글보드 컴퓨터를 제작해 줄 수 없냐고 꾸준히 요청해왔다”며 “이러한 목소리를 수용해 제품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오는 6월 관련 제품 판매를 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출시되는 제품은 ▲TOPST D3-G ▲TOPST CVP-G ▲TOPST AI-G 등 총 3개로 구분된다. 가격은 5만원에서 18만원 사이로 책정될 예정이다.

▲TOPST D3-G 제품은 텔레칩스의 돌핀3 칩이 탑재돼 있는 싱글보드 컴퓨터로, 교육 목적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돌핀3는 보급형 콕핏(차량 디스플레이)과 고급형 콕핏 시스템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칩셋으로, 다양한 클러스터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TOPST VCP-G는 차량 제어용으로 설계된 고성능 마이크로 컨트롤러(MCU) 제품으로, 다양한 제품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개발자 친화적 제품’이다.

▲TOPST AI-G는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신경 처리 장치(NPU) 보드로, 비디오 기반 AI 추론에 최적화돼 낮은 전력 소비에 따른 효율적인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 제품은 얼굴인식 및 스마트 감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회사 측 관계자는 “국책 과제 또는 여러 소규모의 연구사업을 진행할 경우 국산 칩 또는 부품을 사용해야 국가서 지원해주는 보조금 규모가 늘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에 당사의 싱글보드 컴퓨터가 하나의 선택안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 싱글보드를 활용하면 로봇 가동, 온도·습도 모니터링, 딥러닝 및 영상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며 “해당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지원 또한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텔레칩스는 2023년 말 독일 자동차 부품기업 콘티넨탈과 계약한 돌핀 칩 공급계약을 기반으로, 자사의 돌핀3 제품을 올해 4분기부터 공급할 계획이다.

김학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 3월 발간한 리포트를 통해 “돌핀 칩 공급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이 따라 2026년 회사의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2026년 예상 실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키움증권은 텔레칩스가 올해 매출 2020억원, 영업이익 75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 1866억원, 영업이익 49억원 대비 8.2%, 53.0% 상승한 수치다.

남지완 기자 ainik@finance-scope.com

섹터 VIEW